경제

[청년도약계좌]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신청 대상 자격 및 혜택 정리!

세상살이짬바 2024. 2. 28. 03:11
728x90
반응형

 

서민금융진흥원 출처

 

서민금융진흥원 :: 청년도약계좌 자주 묻는 질문 QnA

 

이벤트도 진행중인 청년도약계좌! 출처 : https://www.kinfa.or.kr/promotion/noticeDetail.do?seq=29532

 

가입 조건과 자격:

  • 청년도약계좌는 만 18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대상으로 제공됩니다. 이에 해당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.
  • 하지만 개인별로 하나의 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핵심 내용과 활용법:

  • 연간 최대 납입 금액은 840만원으로 제한됩니다. 이는 정부에서 정한 한도이며, 초과 납입은 불가합니다.
  • 예치 기간은 5년입니다. 5년간 예치한 금액에 대한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연 6%의 최대 이자율이 적용됩니다. 이는 정부가 제공하는 특별 금리로, 일반 적금보다 높은 수준입니다.
  • 정부의 추가 지원금을 포함하면 최대 연 9%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는 복리 이자와 정부의 지원금을 합산한 것입니다.
  • 예를 들어, 연간 최대 840만원을 5년 동안 납입할 경우, 복리 이자와 정부의 지원금을 합하여 최대 5천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주의사항:

  • 가입자는 연간 최대 840만원까지만 납입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초과할 경우 추가 지원금 및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.
  • 계약을 조기 해지할 경우, 이자 및 추가 지원금의 지급이 중단될 수 있으며, 일부 이자를 감면한 후 지급될 수 있습니다.
  • 감면되었던 세금이 추징되어 혜택이 줄어 들 수 있습니다. 

세금:

  •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종합소득세와 주민세에 부과됩니다.
  • 이자 소득에 대한 과세는 해당 연도의 세율에 따라 적용됩니다.
  • 세금은 이자를 받을 때에 제한됩니다.
  • 계좌가 만료되면 이자와 배당 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하는 방식입니다. 




예시:

  • 가정: 청년 A씨가 청년도약계좌에 연간 최대 금액을 5년 동안 납입한다고 가정합니다.
  • 연간 최대 납입 금액: 840만원
  • 예치 기간: 5년
  • 최대 연 이자율: 6%
  • 정부 추가 지원금: 연 3%

계산:

  1. 연간 납입 금액: 840만원
  2. 총 납입 금액(5년 동안): 840만원 × 5년 = 4,200만원
  3. 최대 연 이자율: 6% (최대 약 640만)
  4. 정부 추가 지원금: 연 3%(최대 약 126만)
  5. 만기시 4500~5000만원 선으로 목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. 
    단, 이 목돈을 60개월동안 묵혀도 되는 기회비용인지 개인 상황에 맞게 진행하시길 바랍니다! 

 

728x90
반응형